도커가 나온지 시간이 많이 지났고, 개발환경을 쉽게 하고 이제 많이 보편화 되었습니다.
실제 개발자의 역량중에 도커의 활용도에 따라서 테스트 환경 및 개발을 효율적으로 할수 있는 차이가 많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시점에 최신 도커 파일 기준으로 다양한 정책들이 변경되었고 최신 시점으로 책이 출가되어서
이제 막 도커를 학습하고 배우기 위해서 필요한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 구성
· 도커의 기본지식 / 도커 컨테이너 활용법 / 도커 이미지 활용법 / 도커 파일 활용법 / 고급 도커 컨네이터 활용법
웹서비스 개발 환경 구축 / 운영시 주의할점 과 트러블 슈팅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실제 이론 및 사용해야 하는 컨테이너, 이미지, 웹서비스 등 다양한 목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도커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이해하려면 가상화에 대한 이론을 이해해야 한다.
· 도커의 구성 요소
용어를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도커 엔진, 컴포즈, 데스크톱, 허브를 설명합니다.
도커의 경우, 지속적으로 유료정책이 변화되고 라이센스 문제가 있으니, 이러한 용어를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 OCI라는 용어를 이해해야 합니다. Open Container Initiative 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컨테이너 표준규격을 정의합니다.

OCI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규격 및 다양한 기준이 나오니 이론을 이해하고 접근해야 합니다.
책에서 테스트 환경은 Window, MacOS에서 실습 내용이 설명됩니다.
■ 도커 명령어의 중요성
· 도커에서는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컨테이너 개념이 있기 때문에 조금 더 다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이런 부분이 중요한 것은 수행해야 하는 시점에 필요한 명령어를 활용할수 있게 내용이 구성되어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됩니다.


이렇게 명령어의 조작과 매개변수에 대해서 어떻게 활용할수 있는지 제공되는 그림은 실제 사용시 매우 많은 업무에 도움을 제공합니다.
■ 컨테이너의 개념
· 컨테이너는 각각 상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컨테이너를 동작시키는 다양한 명령어가 존재합니다.
ls, inspect, port, top 등등 다양한 명령어가 p. 87에서 설명합니다.
실제 사용되는 명령어에 대해서 문법과 입력 항목을 아래와 같이 mapping해서 그 의미 파악이 쉽습니다.

이렇게 각 프롬프트 명령어를 이해하기 좋고 파악하기 좋은 개념을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docker container is와 같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를 수행시 노출되는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하나 예시로 되어 있는 다양한 명령어를 실행해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컨테이너에 이름을 붙이고, 삭제하는 이러한 명령어 수행을 해보고 그것에 노출된 정보에 대한 설명하는 것이 책의 친절함을 느낄수 있습니다.
■ 활용해보기
· 가장 쉽게 처음으로 nginx를 기동하는 것이 많이 사용됩니다.
nginx를 쉽게 실행해서, 웹서버로 활용하기 쉽게 제공합니다.
mysql을 실행해서 DB를 활용할수 있게 구성하는 방법
postgreSQL 서버를 가동해서 활용하기
· 도커 이미지를 활용
컨테이너는 이미지에서 작성하고 사용이 끝나면 삭제합니다.
레이어와 메타테이터를 구성해서 안에 구성된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 docker image ~ 를 이용해서 이미지 관련 내용에 대한 명령어를 수행할수 있습니다.
이미지 목록 확인하기 / 취득하기 / 상세 내용 확인하기 진행
도커 허브를 이용해서 위에서 언급한 이미지를 다운받아서 다양한 버전을 쉽게 설치하고 동일한 환경을 만들수 있습니다.
15장에서는 컨테이너와 이미지에서 이미지를 작성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15장 vi를 설치한 우분투 이미지를 작성하고 공유하기
_15.1 컨테이너에 vi 설치하기
_15.2 컨테이너 이미지화하기 container commit
_15.3 컨테이너를 tar로 이미지화하기 container export + image import
_15.4 이미지를 tar로 만들고 다시 이미지화하기 image save + image load
■ 도커 파일을 활용하기
· 도커 허브 및 로컬 개발 환경 구축을 쉽게 하기 위해서 도커 파일을 이용해야 합니다.
도커파일에 이미지 확장 방법을 기로갛면 어떤 동작을 위한 파일 전달 대신, dockerfile을 공유합니다.
이것을 통해서 동일하게 환경을 구성할수 있습니다.
다양한 요소를 from을 이용해서 레이어를 구성해서 다양한 요소와 연결고리를 가집니다.

■ 고급 도커 컨테이너 활용하기
· 가상으로 구성시 볼륨이라는 개념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 실제 저장하는 데이터가 물리적은 위치의 파일이라면 상관이 없겠지만, 도커는 내가 저정하는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하는지 혼돈이 되기도 합니다.
> 볼륨 작성하기 / 마운트 하기
- 이러한 개념으로 네트워크도 실제 운영에 환경 구성을 하기에는 개념 및 활용법이 중요하니다.
> 네트워크 작성하기 / 접속하기 / 컨테이너 통신
이러한 내용이 5부, 고급 과정에서 언급되어 있습니다.
· 도커 데스크톱 유료 플랜
- 2021년에 도커 데스크톱이 유료화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제품 플랜의 종류가 변경도 있어서 지금 2024년 9월 기준으로 최신 플랜을 설명해주고 우리는 어떻게 활용할지 알려줍니다.